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home 3 mail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 Vol. 25 , No. 3

[ Article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 Vol. 25, No. 3, pp. 240-249
Abbreviation: J Muscle Jt Health
ISSN: 1975-9398 (Print) 2288-789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27 Jul 2018 Revised 05 Dec 2018 Accepted 05 Dec 2018
DOI: https://doi.org/10.5953/JMJH.2018.25.3.240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에 대한 개념분석
이은남1) ; 공경란2)
1)동아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2)울산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Concept Analysi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Lee, Eun Nam1) ; Kong, Kyoung Ran2)
1)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Donga-A University, Busan
2)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Ulsan College, Ulsan , Korea
Correspondence to : Kong, Kyoung Ran Department of Nursing, Ulsan College, 101 Bong su-ro, Dong-gu, Ulsan 44022, Korea. Tel: +82-52-230-0856, Fax: +82-52-230-0730, E-mail: krkong@uc.ac.kr


ⓒ 2018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ributes, antecedents, their consequences, and empirical indicator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Methods:

Walker and Avant'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ncept. Articles published after 1990 were searched in Medline, CINAHL, NSDL, and RISS databases us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and their combination as keywords.

Results:

The attribute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are: 1) certitude and trust toward rehabilitation treatment; 2) confidence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3) efforts and commitments to achieve health goals; 4) psychological needs to act toward health recovery. Its antecedents include: 1) rights of selfdetermination; 2) goal setting and goal-oriented attitude; 3) personal needs; 4) getting rewards; 5) social and family support; 6) professional behavior of healthcare providers; and 7) least risks or costs for actions taken.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veloping tools to measure the motivation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Keywords: Arthritis, Rheumatoid, Rehabilitation, Motivation
키워드: 관절염, 류마티스, 재활, 동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의 활액막을 침범하여 관절통, 관절손상, 그리고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약 0.5~1%, 우리나라의 경우 1.1%가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ae, 2010). 진단을 받은 후 44%는 경증 및 중등증의 기능장애를, 그리고 16%는 심각한 기능장애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병 후 시간이 지날수록 그 증상이 악화되어 관절변형과 관절기형이 초래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Young et al., 2000). 이러한 질병의 진행과정으로 인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는 재활치료가 강조되어지고 있다. 재활치료의 목적은 통증을 줄여주고, 관절가동범위를 증진시켜서 스스로 일상생활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즉 관절염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면서 더 이상의 관절 손상을 방지하는데 재활 목표를 두고 있다.

그러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은 지속되는 증상과 기능장애로 인해 무력감을 느끼고 그로 인해 재활 관련 활동들의 수행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재활치료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지식, 재활과정중의 손상이나 합병증에 대한 두려움, 재활효과에 대한 기대감의 저하로 재활치료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Buffart, Westendor, van den Berg-Emons, Stam, & Roebroeck, 2009). 환자들이 자가관리 행동 즉, 운동이나 재활치료를 받고 유지함에 있어 방해요인 중에 한가지로 동기의 부족이 강조되고 있어, 환자들의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반드시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Chaleshgar-Kordasiabi, Enjezab, Akhlaghi, & Sabzmakan, 2017).

동기(motivation)는 재활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로 재활성과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Maclean, Pound, Wolfe, & Rudd, 2000). Hurkmans 등(2010)도 환자들이 건강한 방향으로 행동변화를 시작하고 그것을 유지하도록 조정하기 위해서는 자율적인 동기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다. 재활동기가 클수록 재활의 시간이 단축되어지고 재활동기가 낮으면 낮을수록 재활속도는 감소된다고도 하였다(Kwon, 2003).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서는 재활에 대한 적극적인 동기조성이 필요함을 여러 학자들이 강조하고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 역시 예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완치의 개념보다는 현재의 상태를 최대한 유지하고 기능장애를 줄일 수 있는 재활치료에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의 재활동기는 환자들의 재활활동영역을 넓히고, 스스로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재활동기 개념은 주로 뇌졸중 환자(Kong & Lee, 2008; Kwon, 2003; Maclean et al., 2000)나 장애인(Chervinsky et al., 1998; Han & Lim, 2002; Kim & Lim, 2009)에게 적용되어 왔다. 국내에서 선행되어진 연구들 중 Kwon (2003)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 대해 의욕을 불러 일으켜서 재활의 효과를 결정하는 심리적 과정으로써, 장애극복의지, 재활에 대한 신뢰, 용기, 자기실현을 내포한다고 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를 개발한 연구에서 Han과 Lim (2002)은 장애인이 자신의 남아 있는 능력을 활성화시키고 변화된 삶의 형태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한 행위변화에 참여하려는 심리적 욕구를 재활동기로 정의하였다. Maclean 등(2000)은 장애인에 대한 재활동기 개념을 개인적 요인, 문화적 사회적 요인, 전문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외부적인 자극 전략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Chervinsky 등(1998)은 재활동기에서 개인적인 욕구와 흥미를 강조하고, 동기는 질병 후 회복과 관련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많은 분야에서 재활동기개념을 다양한 형태로 정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환자의 동기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이미 개발되어진 도구의 경우 뇌졸중이나 장애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일시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뇌졸중이나 장애인과는 달리,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장애정도가 심각해질 수도 있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의 재활과정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재활동기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그에 따른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 개념의 선행요인과 속성을 파악하여 명확히 정의함으로서 간호영역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개념적 기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그 속성을 규명하고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하며 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3. 연구방법

재활동기에 대한 문헌을 수집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 정보센터(NSDL),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및 CINAHL, Medline등의 문헌검색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검색하였다. 재활동기를 영어로 번역하면 ‘rehabilitation motivation’이므로 자료 검색 시 활용한 주제어는 ‘재활동기’, ‘재활’, ‘동기’, ‘rehabilitation’, ‘motivation’, ‘rehabilitation motivation’ 을 모두 포함하였다. 1990년 이후부터 2018년 5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한 결과 1,075개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수기검색을 통해 36개의 논문을 확인하였다.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고 남은 746개의 논문 중, 제목과 초록에서 개념적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논문 645편을 1차적으로 제외하였고, 류마티스 재활동기 개념 분석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47편의 논문을 제외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54편의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다(Figure 1 ). 문헌 검색과정은 2인의 연구자가 문헌검색 결과의 일치성을 확인한 후 진행하였고, 각자의 검색결과를 비교한 후 최종 문헌을 선정하여 진행함으로써 문헌 추출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Walker와 Avant (2010)의 개념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 
Literature search and selection algorithm.

• 개념을 선정한다.
• 개념분석의 목적을 설정한다.
• 개념의 모든 사용을 확인한다.
• 개념의 결정적 속성을 확인한다.
• 개념의 모델 사례를 제시한다.
• 개념의 부가사례(경계 사례, 연관 사례, 반대 사례)를 제시 한다.
•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한다.
• 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확인한다.


연 구 결 과
1. 재활동기에 대한 문헌고찰
1) 개념의 사전적 정의

국립 국어원 표준 대국어 사전(2018)에는 재활을 “다시 활동함, 신체장애자가 장애를 극복하고 생활하는 것”으로 나와 있고, 동기는 “어떤 일이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Cambridge dictionary (2018)에서는 재활을 “the process of returning to a healthy or good way of life, or the process of helping someone to do this after they have been in prison, been very ill, etc”로 “수감이나 질병 이후에 건강한 삶으로 돌아가려는 과정 혹은 돌아가도록 돕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동기는 “A reason for doing something”으로 “어떤 일을 하는 이유”로 정의하고 있다.

이상의 사전적 의미를 종합해 볼 때,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가 장애를 극복하고 관절염으로 인한 활동의 제한 속에서도 최상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이유 또는 계기라고 할 수 있다.

2) 타학문에서의 재활동기 개념 사용

재활과정에서의 동기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심리학, 사회복지학, 재활의학, 정신의학 등의 여러 학문에서 언급되어 왔다. 심리학자인 Deci와 Ryan (2008)은 자기결정이론에서 재활동기에 대해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는데, 동기란 인간으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유발하고 방향을 안내하며 통합을 시키는 내적요인으로, 이러한 인간행동을 결정하는 동기를 강화시키는 것이 자기결정과 유능감에 대한 심리적 욕구라고 하였다. 또한 Deci 와 Ryan (2008)은 동기유형이 인지, 정서, 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동기 관련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인지적 결과 변수에는 집중과 전념, 참여태도가, 정서적 결과변수로는 흥미, 긍정적 혹은 부정적 감정이, 행위적 결과변수에는 과제의 지속력, 학문적 성취, 노력정도 등이 포함되었다.

Maclean, Pound, Wolfe와 Rudd (2002)는 뇌졸중 센터에서 일하는 물리치료사, 작업치료교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학자, 그리고 사회사업가를 대상으로 동기개념을 어떻게 인식하고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심층면담을 하여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적극적인 사람은 동기화가 된 사람으로, 소극적인 사람은 동기가 부족한 사람으로 묘사했다. 또한 재활에 순응하는 사람을 동기화된 사람으로 언급하였으며, 동기는 개인의 성격요인, 연령이나 질병의 중등도 같은 임상적 요인, 가족의 지지, 문화적 요인, 재활환경, 그리고 전문가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Maclean 등(2002)은 동기를 변화시키기 위해 의료인이 취해야 할 전략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명확하고, 현실 가능한 목표를 설정할 것, 둘째 환자의 가치체계와 충돌하지 말고 환자의 특이성을 받아들일 것, 셋째 동기와 회복에 대한 책임을 환자에게 전적으로 전가하지 말 것이다.

Geelen과 Soons (1996)에 따르면 동기는 환자가 경험하는 방식, 자신의 노력을 해석하는 방식과 연관되며 성공적인 재활 가능성에 대한 자신의 주관적 인식과 평가는 사회적 혹은 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또한 동기화를 위해서는 환자가 그 상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그리고 관심사가 무엇인지, 정보와 교육에 대한 환자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이지 않는 비용을 찾아내고 감정적으로 압박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동기수준과 신체활동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Hurkmans et al., 2010)에서 환자 동기는 건강 행위를 얼마나 자신이 선택한 목표로 인식하는지와 밀접하게 연관된다고 하였다. 즉 목표가 되는 건강행위를 자신이 설정한 목표로 간주할수록 신체활동수준이 높음을 보고하면서 목표가 되는 건강행위를 자신이 설정한 목표로 간주할수록 신체활동수준이 높음을 보고하면서 이러한 자율성 조절에 의한 동기화는 생활양식의 변화 및 유지, 약물순응 및 자기관리, 프로그램 참여 등의 유의한 예측요인임을 보고하였다. Chervinsky등(1998)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동기에 관한 연구에서 재활동기를 재활치료에 참여하고자 하는 환자 개인의 욕구와 흥미로 정의하였고, 재활동기가 환자의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인에 의한 의료서비스 제공 및 결과적으로 환자의 질병 후 회복과 연관된다고 하였다(Table 1).

Table 1. 
Definition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Various Disciplines
Disciplines Authors Definition
Psychology Deci & Ryan (2008)
Geelen & Soons (1996)
Internal factor to induce, guide direction and integrate some actions
The way in which a patient experiences or interprets their efforts
Clinical psychology Kemp (1988) Planning process based on the assessment of outcomes of action and the decision for a course of action
Medicine Maclean et al. (2002)
Chervinsky et al. (1998)
Hurkmans et al. (2010)
Patient demeanor and compliance pattern
Desire and interest in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treatment
Closely linked to goal ownership
Nursing Resnick (1996)
Guthrie & Harvey (1994)
An inner urge which moves or prompts a person to action
Willing to expend effort, not needing undue encouragement

3) 간호학에서의 재활동기 개념의 사용

재활은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작업적 잠재력을 극대화 시켜 권위와 자존감을 유지해나가도록 돕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Koo, 1993), 장애인이 자신의 남아있는 능력을 활성화시키고 변화된 삶에 빠르게 적응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려는 심리적 요구를 재활동기라 하였다(Han & Lim, 2002). Resnick (1996)은 동기에 대해 사람이 행동을 하게 하는 혹은 행동을 하도록 움직이게 하는 내적 충동이라고 했다. Guthrie와 Harvey (1994)에 따르면 동기화된 사람은 기꺼이 노력하려 하고 많은 격려도 필요하지 않고 힘든 치료과정에 대해 불평도 하지 않는다고 기술 하였다.

재활동기란 재활의 효과를 결정하는 심리적 과정으로 재활욕구, 재활에 대한 심리적 신뢰, 용기, 가치실현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동기가 낮은 경우에는 치료를 거부하는 경향이 있고, 재활동기가 클수록 재활시간이 단축된다는 보고도 있다(Koo, 1993).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환자가 치료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자세는 치료의 과정이나 결과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Park & Kim, 2003). 특히, 장애로 손상된 신체기능은 재활초기 단계에 어떠한 개입이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재활의 전 과정에서 환자의 내적동기와 의지가 매우 중요한 요건이 된다(Yang, 2011).

Kim과 Lim (2009)에 따르면 재활동기는 재활욕구, 재활에 대한 신뢰, 용기, 가치실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재활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가족과 사회의 직접적 도움, 격려, 긍정적 이해, 경제적 도움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Kong과 Lee (2008)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목표가 상실된 기능을 최대한 회복시키고 변화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스스로의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어떻게 자기관리를 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권을 부여하는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대상자의 재활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Park과 Kim (2003)은 척수손상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 재활 동기란 여러 가지 문제를 가진 환자가 장애를 최소화하고 남아 있는 육체적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가능한 한 독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욕구, 신뢰, 용기, 가치실현이 포함되어있는 개념이라고 하였다.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에는 심리적 ․ 정서적 상태인 우울감,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영향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재활동기의 조성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An과 Seo (2015)는 혼종모형을 이용하여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동기에 대한 개념분석을 시행한 한 결과, 직업재활동기의 속성을 정상적인 삶에 대한 열망, 행복과 경제적 안정추구, 자신의 가치추구, 취업의지, 자신감, 직업유지 의지로 구분하였고 재활동기의 선행요인으로는 정신과 증상 안정과 최소한의 병식 및 현실감, 대인관계기술, 일상생활기술과 기본적인 직업기능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의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개발 연구에서 Han과 Lim (2002)은 재활동기경험을 지각된 능력, 수행에 대한 만족감, 목표를 향한 노력, 자율성, 긴장-압력, 관계성으로 범주화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경우에 통증, 관절 변형 및 신체기능의 상실 등으로 상당한 장애를 초래하므로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요구된다(Vlieland, 2003). 그러나 대다수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경우 현재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활동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hrlich-Jones et al., 2011).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 동기 및 신체활동 참여에 대한 연구(Ehrlich-Jones et al., 2011)에서 신체활동에 대한 동기수준이 높을수록 신체활동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재활동기의 개념에는 재활에 대한 욕구, 자신감, 기능회복, 의지, 외부적인 개입이나 지지등의 요소들이 포함되며, 재활동기는 재활 프로그램 참여의 유의한 예측요인임을 알 수 있다.

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의 잠정적 기준목록과 속성

재활동기가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범위의 문헌을 고찰한 결과 다음의 잠정적인 기준목록과 속성을 확인하였다.

1)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의 잠정적 기준목록

① 장애를 극복하고 건강한 삶으로 돌아가기 위한 심리적 욕구 또는 내적 충동이다(Deci & Ryan, 2008; Resnick, 1996; Han & Lim, 2002).

② 건강활동에 헌신하고 목표를 향해 노력하는 것이다(Geelen & Soons, 1996; Han & Lim, 2002)

③ 변화된 삶에 적응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려는 의지이다(An & Seo, 2015; Chervinsky et al., 1998; Kim & Lim, 2009).

④ 재활치료에 대해 확신하고 신뢰하는 것이다(Kim & Lim, 2009, Koo, 1993)

⑤ 재활의 효과를 결정하는 심리적 과정이다(Seo, Kang, Lim, Kim, & No, 2000; Koo, 1993).

⑥ 재활과정을 통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추구하거나 실현하는 것이다(Kim & Lim, 2009)

⑦ 재활치료에 흥미를 느끼는 것이다(Chervinsky et al., 1998: Yang, Sok, & Kim, 2005)

⑧ 재활과정에 대한 자신의 능력을 지각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Han & Lim, 2002; Chervinsky et al., 1998).

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의 속성확인

본 연구에서 확인한 재활동기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1) 재활치료에 대한 확신과 신뢰(④)

(2) 재활과정에 대한 지각된 능력 및 자신감(⑦, ➇)

(3) 건강목표를 향한 노력 및 헌신(➁, ➂, ➅)

(4) 건강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게 하는 심리적 욕구(➀, ➄)

즉, 재활동기는 1) 재활과정에 대한 확신과 신뢰를 바탕으로 2) 재활과정에 자신감을 갖고 3) 건강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헌신하려는 4) 심리적 욕구이다(Figure 2 ).


Figure 2. 
Conceptual structure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3.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 개념의 사례
1) 개념의 모델사례

모델사례는 재활동기에 관한 개념의 모든 속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명확하게 그 개념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정확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실제 생활의 예가 될 수 있다(Walker & Avant, 2010).

28세 A씨는 미국의 유명 구단에서 활동하던 야구선수이다. 27세부터 시작된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해 어깨, 팔꿈치, 팔목, 손목, 손가락의 관절이 경직되어지고 변형이 오기 시작하면서 선발투수에서 물러나 약물치료와 재활치료를 받고 있다. 자신의 관절상태에 대한 구단과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부담감은 더욱 커졌고, 앞으로 야구를 계속 할 수 없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우울해하며 재활치료 참여에 소홀하였다. 우연히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를 계속 받으며 운동선수로 활약하고 있는 친구와 만나 여러 차례 재활치료에 대한 성공 경험담을 접하면서 자신도 재활치료에 집중하면 투수생활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1). 선수생활을 하는 동안에 힘든 체력훈련을 견딘 것처럼 재활 치료도 잘 견뎌낼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갖고(2), 언젠가는 자신의 원래 모습으로 회복되어 마운드에서 공을 던져 관객들로부터 열렬한 응원을 받고 싶다는 생각에 (4), 통증을 견디고 부종을 얼음찜질 등으로 완화시키면서 하루도 거르지 않고 자신의 재활치료 프로그램에 1년 동안 꾸준히 참석하였다(3).

2) 개념의 부가사례

(1) 경계사례

경계사례는 개념의 중요한 속성 중 일부를 포함한 예로서 개념의 모든 속성을 포함한 모델사례와 구분된다(Walker & Avant, 2010).

피아니스트였던 28세 B씨는 10년 전부터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치료를 받으면서 발과 발목, 손목과 손가락 관절의 변형이 심해져 수중재활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평소에도 수영을 취미활동으로 매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수중재활 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없었다. 그녀는 피아노를 다시 치고 싶다는 생각으로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으나(4), 재활치료가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서는 확신을 갖지 못하고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자주 불참하였다.

(2) 연관사례

연관사례는 분석하는 개념과 관련은 있으나 중요한 속성은 포함되지 않은, 유사하나 자세히 검토하면 다른 의미를 가진 사례이다(Walker & Avant, 2010).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무릎, 발목, 발의 변형이 심하게 진행된 38세의 B씨는 정상적으로 걸어 다니기 힘든 상황이다. 주치의가 주 2회 물리치료센터에서 진행하는 운동 재활 프로그램을 받아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권유하였고, 운동재활을 해본 적이 없기에 운동효과에 대한 확신과 운동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없지만, 의사의 지시니까 무조건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여 운동재활 프로그램에 꾸준히 참석은 하고 있다.

(3) 반대사례

반대사례는 그 개념이 아닌 것에 대한 분명한 예로서 개념의 중요한 속성은 전혀 들어 있지 않은 사례이다(Walker & Avant, 2010). 이는 반대상황을 설명함으로써 규명하고자 하는 개념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30대 후반에 시작된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해 45세의 H씨는 현재 스스로 걷기도 힘들고 손을 자유롭게 쓰지도 못해 타인의 도움 없이는 외부로의 외출이 어려운 상황이다. 질병이 점차 진행되어 관절의 변형이 시작되고 약으로 인한 부작용이 심해지면서 H씨는 약물도 규칙적으로 복용하지 않았다. 의사는 H씨에게 ‘꾸준히 재활치료를 하면 증상 악화를 예방할 수 있고, 예전의 상태로 호전될 수도 있다’고 여러 차례 이야기했다. 하지만 H씨는 ‘꾸준히 병원을 다닐 수 있는 형편이 아니다. 재활치료를 하면 통증이 더 심해진다. ‘어차피 나는 정상으로 살아갈 수 없다’고 생각하며 절망감 속에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고 수년간 생활하였다. 진통제를 먹지 않으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통증이 심각해 졌고, 관절형태가 심하게 변형되면서 스스로 걷기조차 힘들어진 상태이다. H씨는 점점 희망을 잃어가고, 어느 누구와도 교류하지 않고 집안에서 누워 지내고 있다.

4.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

개념을 정의할 때 선행요인과 결과를 분석하는 것은 분석하고자 하는 개념의 속성을 보다 더 정련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선행요인은 개념 발생 전에 일어나는 상태나 사건을 말하며, 결과는 개념으로 인해서 유발되는 현상이나 사건을 의미한다(Walker & Avant, 2010). 문헌고찰을 통해 규명된 재활동기의 선행요인은 다음과 같다.

• 의사결정권, 자기결정권(Deci & Ryan, 2008; Kong & Lee, 2008)
• 목표설정 및 목표 지향적(Hurkmans et al., 2010)
• 대상자가 원해야 하고 대상자의 욕구가 있어야 함(Geelen & Soons, 1996)
• 보상이 뒤따라야 함(Geelen & Soons, 1996)
• 행동에 따른 위험이나 비용이 적어야 함(Geelen & Soons, 1996)
• 가족과 사회의 지지(Kim & Lim, 2009: Maclean et al., 2002)
• 의료인의 전문가적 태도(Maclean et al., 2002)

본 연구에서 재활동기의 결과는 인지, 정서, 행위로 구분할 수 있다. 인지적인 결과로 재활활동에 좀 더 집중하고 전념을 하게 되며(Deci & Ryan, 2008), 적극적인 태도(Maclean et al., 2002)를 취하게 되고, 정서적인 측면에서는 재활 프로그램에 좀 더 흥미와 긍정적 감정을 갖게 되고 부정적 감정이 줄어들며(Deci & Ryan, 2008; Guthrie & Harvey, 1994), 행위적인 측면으로는 재활활동의 지속력, 재활성취도, 재활활동의 노력정도 및 참여율(Ehrlich-Jones et al., 2011; Guthrie & Harvey, 1994; Hurkmans et al., 2010)이 향상된다(Figure 2 ).

5.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의 경험적 준거

Walker와 Avant (2010)의 개념분석의 마지막 단계인 경험적 준거는 개념의 속성이 실제 현장에서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재활동기 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준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Han과 Lim (2001)Deci와 Ryan (2008)의 자기결정성이론을 바탕으로 장애인의 재활동기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이 도구는 총 27문항으로 과제지향적 동기, 변화지향적 동기, 의무적 동기, 외부적 동기, 무동기의 5개 하부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Koo (1993)은 척수장애인의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지체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재활동기검사에 재활욕구, 재활에 대한 신뢰, 용기, 가치실현 등을 포함하여 재활동기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또한 Chervinsky 등(1998)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동기 측정도구(Motivation for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Questionnaire, MOT-Q)를 개발하였다. MOT-Q는 부정, 분노, 재활치료에 대한 흥미, 전문가 도움에 대한 신뢰의 4개 하부영역, 3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뇌졸중 환자나 장애인, 뇌손상 환자의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 추출된 속성들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어, 향후에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재활과정에 대한 신뢰, 재활과정에 대한 지각된 능력, 건강목표를 향한 노력, 그리고 건강 활동에 대한 심리적 욕구를 함축하는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논 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은 통증과 관절변형, 일상생활장애 등을 경험하기 때문에 의료인으로부터 재활치료를 권고 받지만, 뇌졸중이나 다른 신체 장애인과 달리 재활치료의 순응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환자들의 재활참여를 촉진하는데 중요한 개념으로 알려져 있는 재활동기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재활동기 개념은 주로 뇌졸중이나 신체, 정신 장애인에게 적용되어서 질병패턴이나 치료반응 등이 다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파악된 재활동기 개념의 속성 뿐 아니라 선행요인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를 명확히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의 주요 속성으로 재활치료에 대한 확신과 신뢰, 재활과정에서의 지각된 능력 및 자신감, 건강목표를 향한 노력 및 헌신, 건강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게 하는 심리적 욕구가 규명되었는데, 이 네 가지 속성은 모두 개인의 내재적인 성격특성을 의미한다. 그리고I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이 재활 관련 운동이나 신체활동은 통증을 인내하는 노력이 있어야 가능하고 그 효과가 있을 때 시행하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하였다(Iversen, Scanlon, Sharby, Frits, & Shadick, 2015). Buffart 등(2009)은 신체활동 또는 재활치료를 함에 있어 자신이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확신과 마음가짐이 분명해야 하고, 활동이나 재활치료 이후에 누릴 수 있는 기쁨이나 성취감을 이미 경험해 본 사람이 자연스럽게 도전한다고 하였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에게서 재활치료나 운동이 확신과 신뢰, 건강목표를 향한 노력 및 헌신이 있어야 가능한 것임을 설명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와 선행연구결과와의 차이점은 선행연구가들의 경우 동기를 외부 환경이나 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개인 성격으로만 간주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보상, 가족과 사회의 지지, 의료인의 전문가적 행동이 동기의 선행요인으로 규명된 점이다. 즉 본 연구에서는 동기가 개인의 내적인 성격특성이지만 문화적, 사회적 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 장애인의 재활동기에 대한 연구(Brillhart & Johnson, 1997; Yang, 2011)에서도 사회적 지지 ․ 가족의 지지등 외부 개입이 재활동기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 속성중에 재활과정에서의 지각된 능력 및 자신감은 자기효능감과 매우 유사한 개념으로, Resnick (1996)은 동기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를 자기효능감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여러 연구(Buffart et al., 2009; Han & Lim, 2002; Park & Kim, 2003; Yang, 2011)에서 재활에 대한 욕구만으로는 재활동기가 지속 되기 어렵고 성취감을 경험하는 것이 동기를 지속시킬 수 있다고 하여 자기효능감이 재활동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여, 자기효능감이 선행요인인지, 주요 속성인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마다 논쟁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가는 자기효능감이 재활동기의 주요 속성이자 재활동기를 지속시키는 선행요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개인이 어려움에 봉착했을 때 바람직한 행위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은 재활동기를 나타내주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계속되는 재활과정에서 동기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선행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겠다. Brillhart와 Johnson (1997)은 척수손상으로 인한 장애인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시행한 결과, 가족 및 사회적 지지는 대상자들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보고함으로서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을 통해 재활동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를 선행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은 재활동기의 속성으로 개념화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에는 사회적 지지와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이 주요 요인(Kong & Lee, 2008; Kwon, 2003)으로 제시되고 있고, 장애인의 재활동기에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 만족감, 목표를 향한 노력, 자율성, 관계성, 긴장과 압력이 주요 속성으로 제시되고 있다(Han & Lim, 2002). 장애인의 재활동기는 내재적인 동기를 과제지향적인 동기로 명명하고, 불안이나 자존감의 상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반드시 행하게 만드는 재활동기는 과제지향적 동기라고 하였다(Han & Lim, 200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에서의 주요 속성인치료에 대한 확신과 신뢰, 지각된 능력 및 자신감과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으나, 질병에 대한 불확실성이 속성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뇌졸중이나 장애인과 마찬가지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 역시 개개인의 내적 요인이 재활동기에 가장 중요한 속성이되고, 외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나 보상 등은 재활동기의 선행요인으로 개념화되었다. 다른 학문을 포함한 선행연구들에서 밝혀진 대로 재활동기에서는 개인의 노력이나 의지가 중요한 속성임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Buffart et al., 2009; Iversen et al., 2015). 하지만 질병의 불확실성은 의료진의 전문가적인 태도와 재활에 대한 보상이 뒤따르게 된다면 완화될 수 있어 주요 속성으로 제시되지 못한 점이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차별화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경우에는 장애인과 달리 의무적인 동기와 과제지향적인 동기가 포함되지 않은 것이 장애인 재활동기와 다르지만, 변화지향적인 동기는 자신이 스스로 개선되고자 하는 류마티스 환자의 내재적인 재활동기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는 단순히 의료인의 충고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목표에 대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려는 욕구를 갖고 있어 이러한 자기결정권이나 선택권이 충족될 때 재활동기가 시작되고 이러한 결정이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재활목표를 향해 헌신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노력할 때 성공적인 재활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더욱 흥미를 느껴 재활활동을 지속하게 될 것이다.


4. 결과

본 연구는 재활동기에 대한 개념분석 연구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재활동기는 ‘류마티스 환자들이 관절변형이나 기능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목표를 스스로 결정하고 가족과 사회적지지를 바탕으로 의료인의 동기화 전략을 통해 재활과정에 대한 확신과 신뢰, 자신감을 갖게 되고 건강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헌신하는 심리적 욕구’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개념의 정의를 토대로 타당성을 확보 하기 위한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하겠고, 류마티스 관절염 대상자의 재활동기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개발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재활동기를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간호중재로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정해 볼 것을 제안한다.


References
1. An, E. S., & Seo, J. M., (2015), Concept analysis of motiva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4(4), p279-289.
2. Bae, S. C., (2010), The current status of surveys on prevalence of rheumatic diseas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heumatism Association, 17(1), p1-3.
3. Brilhart, B., & Johson, K., (1997), Motivation and coping process of adult with disabilities: A qualitative study, Rehabilitation Nursing, 22(5), p249-256.
4. Buffart, L. M., Westendor, T., van den Berg-Emons, R. J., Stam, H. J., & Roebroeck, M. E., (2009), Perceived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physical activity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onset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1(11), p881-885.
5. Cambridge Dictionary, (2018), Retrieved May 16, 2018, from http://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reha bilitation.
6. Chaleshgar-Kordasiabi, M., Enjezab, B., Akhlaghi, M., & Sabzmakan, I., (2017), Barriers and reinforcing factors to self-management behaviour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 qualitative study, Musculoskeletal Care, 6, p241-250.
7. Chervinsky, A. B., Ommaya, A. K., deJonge, M., Spector, J., Karen, S., & Salazar, A. M., (1998), Motivation for traumatic brain injury rehabilitation questionnaire (MOT-Q):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relationship to MMPI-2 variables,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13(5), p433-446.
8. Deci, E. L., & Ryan, R. M., (2008), Self-determination theory; A macrotheory of human motivation, development, and health, Canadian Psychology Psychologie Canadienne, 49(3), p182-185.
9. Ehrlich-Jones, L., Lee, J., Semanik, P., Cox, C., Dunlop, D., & Chang, R. W., (2011),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motivation, and worries about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person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Care & Research, 63(12), p1700-1705.
10. Geelen, R. J. G. M., & Soons, P. H. G. M., (1996), Rehabilitation: An ‘everyday' motivation mode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8, p69-77.
11. Guthrie, S., & Harvey, A., (1994), Motivation and its influence on outcome in rehabilitation,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4(3), p235-243.
12. Han, H. S., & Lim, N. Y., (2002),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the disabled,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4(4), p554-563.
13. Hurkmans, E. J., Maes, S., de Gucht, V., Knittle, K., Peeters, A. J., Ronday, H. K., et al., (2010), Motivation as a determinant of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Care & Research, 62(3), p371-377.
14. Iversen, M. D., Scanlon, L., Sharby, N., Frits, M., & Shadick, N. A., (2015), Perceptions of physical activity engagement among adul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rheumatologist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Rheumatology, 10(2), p67-77.
15. Kemp, B. J., (1988), Motivation, rehabilitation and ageing: A conceptual model,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3, p41-51.
16. Kim, S. O., & Lim, N. Y., (2009), The rehabilitation motive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spinal cord injury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6(1), p66-79.
17. Kong, H. K., & Lee, H. J., (2008),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rehabilitation motiva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the patients with strok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3), p406-417.
18. Koo, S. S., (1993),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the spinal cord injur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Kwon, E. H., (2003),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motive of stroke patients: Focused on individual and family support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Maclean, N., Pound, P., Wolfe, C., & Rudd, A., (2000),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atient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British Medical Journal, 321(7268), p1051-1054.
21. Maclean, N., Pound, P., Wolfe, C., & Rudd, A., (2002), The concept of patient motivation: A qualitative analysis of stroke professionals' attitudes, Stroke, 33(2), p444-448.
22. Park, Y. S., & Kim, J. H., (2003), Factors influencing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7(1), p83-95.
23. Resnick, B. M., (1996), Self-efficacy in geriatric rehabili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24. Seo, M. J., Kang, H. S., Lim, N. Y., Kim, K. S., & No, K. H., (2000), Integrative Rehabilitation Nursing, Seoul: Sinkwang.
25.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2018), Retrieved May 16, 2018, from http://stdweb2.korean.go.kr/search/View.jsp.
26. Vlieland, T. P. M. V., (2003),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rheumatoid arthriti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17(5), p847-861.
27. Walker, L. O., & Avant, K. C., (2010),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8. Yang, J. B.,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rehabilitative motivation of individuals with acquired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18(2), p61-86.
29. Yang, L. S., Sok, S. H., & Kim, K. B., (2005), The effect of stretching exercise up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11(1), p47-56.
30. Young, A., Dixey, J., Cox, N., Davies, P., Devlin, J., Emery, P., et al., (2000), How does functional disability in early rheumatoid arthritis (RA) affect patients and their lives? Results of 5 years of follow-up in 732 patients from the Early RA Study (ERAS), Rheumatology, 39(6), p603-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