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 Article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 Vol. 21, No. 1, pp.19-26
ISSN: 1975-9398 (Print) 2288-789X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4
Received 06 Jul 2013 Revised 20 Mar 2014 Accepted 23 Mar 2014
DOI: https://doi.org/10.5953/JMJH.2014.21.1.19

The Effects of a Hepatitis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Message Frames

ParkJu-Young ; WooChung-He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Konyang University, Daejeon, Korea
메시지 유형에 따른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Correspondence to: Woo, Chung-He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Konyang University, 685 Gasuwon-dong, Seo-gu, Daejeon 302-718, Korea. Tel: +82-42-600-6432, Fax: +82-42-600-6314, E-mail: createjane@konyang.ac.kr

© 2014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http://www.rheumato.org

Purpose: This study was examined the effects of a hepatitis A education on attitude, vaccination intention, and preventive behavior. Methods: Eighty-eight college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9 to September 30 in 2011 and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x2 test.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eventive behavior of hepatitis A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groups (t=1.10, p=.499). However, the negative messag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attitude of preventive behavior (t=0.92, p=.049) and vaccination intention (x2=5.43, p=.039) than the positive message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egatively framed messages are effective on increasing the attitude, vaccination intention, and preventive behavior.

Keywords:

Message, Hepatitis A, Educational program, 메시지, A형 간염, 교육 프로그램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A형 간염은 전 세계적으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2009년 A형간염의 발생 건수는 기관 당 신고 건수가 2008년 대비 평균 2.1배 증가하였으며 최근에도 계속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A형 간염은 최근 몇 년간 발생률이 높아지면서 지정 감염병에서 제 1군 감염병으로 관리가 강화된 질병이다(Park, 2011).

국가필수예방접종 전액지원사업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한 연구(Lee, K. H., 2011)를 보면, 73.9%에서 현재 지원되는 예방접종 이외의 A형 간염 등에 대한 확대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과거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위생수준은 지금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열악하여 그 만큼 환자가 많이 생길 가능성은 있었지만 실제로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소아기에 감염된 후 자연 면역력을 발전시켰으므로 성인에게서 발생 될 가능성은 낮았다. 그러나 오늘날은 개선된 위생으로 소아기에 감염될 가능성이 아주 낮아져 자연적으로 면역력을 형성할 수 없게 되었으며, 따라서 성인이 되어 발병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Yoon 등(2011)의 연구에 의하면, 대한민국 중부 지역의 10세 이하 대상자의 A형 간염 예방접종률은 50.6%로 약 반수에서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있으며, 10대의 항체보유율은 1.9%, 20대의 항체보율은 18.8%, 30대의 항체보유율은 과거 90% 이상이었던 것이 5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이에 20세 전에 A형 간염에 노출되어서 항체를 형성하기는 어려우므로 10세 이전에 적극적인 예방접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또한, 급성 A형 간염의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를 고려할 때, 추가 감염에 대한 예방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 20~30대 성인들에 대한 예방접종을 통한 예방행위에 대하여 언급한 바가 있다. 따라서 건강하게 보이지만 숨겨진 의료취약 계층인 급성 A형 간염의 주 연령층인 20~30대 성인 중에서도 특히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A형 간염 예방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들은 학교 등 단체 생활 기회가 많아 오염된 음식이나 잦은 외식, 술잔 돌리기 등의 특징적인 음식 문화나 습관을 통해 쉽게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평소 A형 간염의 노출 위험성에 주목해야 한다.

질병 예방에 있어서 대상자에게 어떤 유형의 메시지가 성공적인 예방행위 이행으로 유도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할 필요가 있다(Lee, 2011). A형 간염의 예방행위 이행을 위한 교육 시 효과적인 동기유발을 위해서는 태도, 의도를 변화시키는 교육이 우선적으로 시도 되어야 하겠다. 그러므로 메시지 수용자의 태도와 의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Park, 2011).

예상이론에서 메시지 유형은 대안을 채택할 경우 이익을 강조하는 긍정적 메시지와 채택하지 않을 경우 피해를 강조하는 부정적 메시지로 나눌 수 있다(Kahneman & Tversky, 1979). 이런 메시지 유형별 효과에 대한 국내 간호 관련 연구로는 초등학생의 비만예방을 위한 운동증진 광고의 효과를 본 연구(An, Choe, & Kim, 2005)와 당뇨교육에서 긍정적 메시지와 부정적 메시지의 효과 비교(Lee & Gu, 2009)를 한 연구 등으로 광고 및 만성질환자를 위한 간호교육에서 메시지 유형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국외에서는 Human Papillo-mavirus (HPV) 예방접종(Gerend, Shepherd, & Monday, 2008), Measles, Mumps And Rubella (MMR) 예방접종(Abhyankar, O'connor, & Lawton, 2008), H1N1 예방접종(Nan, Xie, & Madden, 2011) 등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메시지 유형 검증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 유형에 대한 연구는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태도와 의도와 같은 변수를 측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상이론에 근거하여 취약 집단에 포함되면서 잠재적인 교육의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기대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메시지 유형을 통한 A형 간염 예방 교육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메시지의 유형을 파악하고, 긍정적 또는 부정적 메시지가 대학생의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예방접종 의도 및 예방행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추후 A형 간염 예방 교육 프로그램 또는 캠페인의 전략 수립을 위한 메시지를 개발하는데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 부정적 메시지를 통한 A형 간염 예방 교육이 A형 간염 발생률이 높은 대학생들의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 및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3. 연구가설

  • • 가설 1.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
  • • 가설 2.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
  • • 가설 3.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행위 정도의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대학생에게 메시지 유형에 따른 A형 간염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로 두 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다.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대상자의 표적집단은 우리나라 20대 초중반 성인이며 근접모집단은 2011년 8월 29일부터 9월 30일에 D시 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다. 연구대상자를 대학생으로 선정한 이유는 A형 간염의 감염률이 가장 높은 시기가 20~30대이기 때문이다(Park, 2011). 대상자 수는 효과크기 .5, 유의수준 .05, 검정력 .80를 기준으로 G*Power 프로그램 3.1.3(Faul, Erdfelder, Lang, & Buchner, 2007)을 이용해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1개 집단에 필요한 최소 표본 수는 42명이었다. 탈락률을 고려하여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세부 선정기준은 비보건 계열에 재학 중이면서 A형 간염에 노출된 적이 없으면서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으며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자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이다. 같은 장소에서 처치 내용이 다른 두 집단을 선정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확산의 문제로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의 소속 대학을 달리 하였으며 비슷한 규모의 학교, 동일 학년, 비보건 계열 학과 학생을 선정하였다.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에 대한 사전 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보조원 2인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 및 A형 간염 예방행위를 각각 조사하였다. 사후 조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4주 동안의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종료 된 직후 연구보조원이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 및 A형 간염 예방행위를 각각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진행 중 프로그램에 1회 이상 참석하지 않은 긍정적 메시지군 1명과 설문지가 완성되지 않은 부정적 메시지군 1명을 제외하고 최종 긍정적 메시지군 44명, 부정적 메시지군 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3. 연구도구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날 음식 선호유무, 가족 구성원 중 간염 노출 위험도가 높은 자(어린이 집)와의 거주유무, A형 간염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 유무로 총 5개 문항을 측정하였다.

2)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예방행위는 자신이 건강하다고 믿는 사람이 증상이 발생하기 전에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취하는 행동을 말한다(Ajzen, 1991). A형 간염의 태도는 Oh와 Park (2011)이 개발한 예방적 건강행위 도구로 사전 승인을 받았으며, 연구목적에 맞게 본 연구자와 개발자 및 간호학 전공교수 2인의 전문가를 통하여 태도에 대한 동사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개인위생, 음식 및 식수관리, 예방접종 및 교육의 3개 영역 총 10문항이며 각 문항별 ‘매우 그렇다’ 4점, ‘그렇다’ 3점, ‘아니다’ 2점, ‘전혀 아니다’ 1점의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점수의 범위는 최저 1점에서 최고 40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A형 간염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79였다.

3) A형 간염 백신 접종의도

A형 간염 백신 접종의도란 자발적으로 A형 간염 백신을 접종하려는 개인의 의사를 말하는 것이다. “A형 간염 백신 접종을 할 의향이 있습니까”의 문항으로 백신 접종의도 여부를 측정하였고, “예”, “아니오”의 이분척도로 답하도록 하였다. “예”인 경우 A형 간염 백신을 접종할 의도가 있음을 의미하며, “아니오”의 경우 A형 간염 백신 접종의도가 없음을 의미한다.

4) A형 간염의 예방행위

A형 간염에 대한 예방행위는 Oh와 Park (2011)이 개발한 도구로 사전 승인을 받았으며, 이 도구를 바탕으로 Park (2011)이 수정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문항은 개인위생, 음식 및 식수관리, 예방접종 및 교육의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점수의 범위는 최저 1점에서 최고 4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예방행위를 잘 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시작 전 도구 개발자에게 연구목적을 밝히고 도구 사용의 허락을 받았다. Oh와 Park (2011)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81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77이었다.

4. 연구진행

1) 실험처치 개발

실험처치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A형 간염 교육과 상담을 통하여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1) 메시지 개발

메시지는 설득의 효과를 위해서 긍정적 메시지와 부정적 메시지로 구성하였다. 긍정적 메시지는 권고안을 선택할 경우 얻게 되는 물리적 ⋅ 심리적 혜택 또는 긍정적 결과를 강조하는 것이며, 부정적 메시지는 권고안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입게 될 물리적⋅심리적 손실 또는 부정적 결과를 강조한다(Kahneman & Tversky, 1979). 메시지는 일반인들에게 익숙한 광고물 형태로 긍정적 ⋅ 부정적 메시지 별로 사진과 문구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크기는 기본적으로 A4 크기로 동일하게 제시하고 각 3장씩 구성 하였다. 긍정적 메시지는 미색으로 처리하여 예방행위를 잘 함으로써 가지게 되는 긍정적 효과를 보여야 하므로 내과 전문의를 모델로 하여 손을 씻는 모습과 예방접종, 음식 및 식수관리, 손 씻기로 예방이 가능하다는 문구(예방접종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합니다, 손씻기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음식 및 식수관리로 예방이 가능합니다)를 포함시켰다. 부정적 메시지에 이용된 사진은 어두운 배경색으로 처리하고 사진의 일부가 찢어져 예방행위를 이행하지 않으면 급성 A형 간염으로 이를 수 있다는 문구(걸리고 나서는 이미 늦습니다, 이 모습이 당신일 수도 있습니다, 당신의 간, 영원히 기능을 멈출 수도 있습니다)와 함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하여 실제 급성 A형 간염을 앓고 있는 환자를 포함시켰다.

(2) A형 간염 교육자료 개발

A형 간염 교육자료는 대학생들에게 적합한 A형 간염 예방교육으로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형성, A형 간염 예방행위 이행 증가 및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를 증가하기 위하여 구성되었다. 질병관리본부, 보건복지부 예방접종도우미 등에서 발간된 교육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A형 간염 발생현황, 연령대별 발생률,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행위에 대한 지침을 교육내용으로 구성하여 리플렛을 제작하였다. 교육자료는 A4 용지 한 장으로 4등분으로 접을 수 있으며, 칼라 인쇄로 하여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2) 실험처치

개발된 프로그램은 기본간호학 교수 1인, 성인간호학 교수 1인, 예방의학과 교수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 의해 내용타당도를 검증 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 보완 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프로그램 횟수는 한 번의 노출로 인하여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지적하였던 Kim (2013)의 제언에 따라 총 4회, 4주간으로 진행되었다. Lee와 Gu (2009)의 연구에 근거하여 1회 약 20분씩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장소는 해당 대학의 강의실과 소그룹 토의실을 이용하여 강의와 그룹 및 개별 상담을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매 회 10분간의 A형 간염 예방 지침에 관한 집단교육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이 후 10분간은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 군을 5~6명으로 구성된 소그룹 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소그룹 토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적정 인원수는 5~12명에 근거하였다(Ajzen, 1991). 이 때, 긍정적 메시지군에는 긍정적 메시지를, 부정적 메시지군에는 부정적 메시지를 그룹별 1장씩 직접 전달하되 각 군의 그룹별 대상자들에게는 사진과 문구내용에 대하여 동일한 설명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5년 이상의 강의와 학생상담 경력이 있으며, 관련 연구논문 발표로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을 준비하였다.

5.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 간 동질성 검증은 x2-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 • 연구대상자의 메시지 유형에 따른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A형 간염 예방행위 정도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는 x2-test로 확인하였다.

6. 윤리적 고려

연구대상자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운영 전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 후 원하지 않는 경우에 참여하지 않아도 됨을 알려주고 서면동의를 받았다. 또한 연구에 참여할 경우 장점과 단점을 설명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익명성과 비밀보장에 대하여 알려주었다. 연구자는 대상자 개개인에게 고유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대상자의 신원이 들어있는 모든 정보는 삭제하였다.

7.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상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으로 설계하였으나 대조군을 설정하지 못하였으므로 외적통제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날 음식 선호, 가족 중 어린이집 구성원 유무, A형 간염에 대하여 들어본 적이 있는지 유무를 조사하였으며,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A형 간염 예방접종 및 예방접종 의도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의 사전 동질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s (N=88)

2. A형 간염 예방교육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가설검증

1) 가설 1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

긍정적 메시지군은 프로그램 전 3.27점에서 3.39점으로 0.11점 증가하였고, 부정적 메시지군은 3.27점에서 3.49점으로 0.22점 증가하였다.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에서 약간 더 증가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0.92, p=.049)(Table 2).

Group Comparisons of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n Pretest and Posttest (N=88)

2) 가설 2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

A형 간염 교육 프로그램 전 ⋅ 후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 간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를 살펴보면 Table 1, Table 3과 같다. 긍정적 메시지군에서 프로그램 전 A형 예방접종 의도가 있는 경우 20.5%에서 프로그램 후 A형 예방접종 의도가 있는 경우는 75%로 54.5% 증가하였으며, 부정적 메시지군에서 프로그램 전 A형 예방접종 의도가 있는 경우 22.7%에서 프로그램 후 A형 예방접종 의도가 있는 경우는 93.2%로 70.5% 증가하였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5.43, p=.039).

Group Comparisons of Hepatitis A Vaccination Intention on Pretest and Posttest (N=88)

3) 가설 3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행위 정도의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

A형 간염 교육 프로그램 전 ⋅ 후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 간 A형 간염 예방행위 정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Table 2와 같다. 긍정적 메시지군은 프로그램 전 2.85점에서 2.95점으로 0.09점 증가하였고, 부정적 메시지군은 2.76점에서 2.90점으로 0.13점 증가하였다.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에서 약간 더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10, p=.499).


논의

최근 서울시에서는 의료 취약계층인 저소득층 유아에 대한 A형 간염 무료 예방접종 사업 시행을 부분 착수했으며,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유아에 대한 A형 간염 무료 접종을 전국 최초로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A형 간염에 대한 정부 정책의 변화를 알 수 있다. A형 간염은 철저한 예방이 중요한 질환으로(Oh & Park, 2011) 치료 보다는 예방행위 이행을 더욱 더 강조하고 있다(Park, 2011).

본 연구는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로써, 차별화 된 메시지 전략을 제시하여 A형 간염 예방 정책 및 홍보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충분한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바람직한 건강습관을 형성하는 시기이면서도 교육을 통하여 쉽게 건강습관을 수정 할 가능성이 내재 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Kim, Oh, Hyong, & Cho, 2008) 긍정적 ⋅ 부정적 메시지를 통한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A형 간염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첫 번째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이다.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긍정적 메시지와 부정적 메시지의 효과를 비교한 Lee와 Gu (2009)의 연구에서 자기간호행위에 대한 태도는 두 메시지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결과와 달리, 부정적 메시지가 긍정적 메시지에 비하여 위암검진에 대한 태도가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던 연구(Lee, H. K., 2011)와 유사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에서 약간 더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부정적 메시지로 제시된 간 이식 수술의 사진과 문구가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시켰기 때문에 태도를 높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프로그램 운영의 방법면에서 집단교육 뿐만 아니라 소그룹 교육으로도 접근하였기 때문에 태도 변화가 가능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웹상에서는 A형 간염과 관련된 올바르지 못하거나 개인적 견해 위주의 많은 정보들이 난무하고 있다. 이는 빠르게 진행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민감한 대학생들에게 잘못된 지식과 태도를 형성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대학 단위의 장기기적 건강정책의 일환으로 학교의 주체인 대학생들의 건강을 담당하는 보건교사를 통한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는 기회를 가지는 등의 체계화 된 건강관리 방안 마련으로 건강투자적인 노력으로 대학생들이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고 건강한 교육환경을 위한 역량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이다. 메시지 유형이 유방자가검진 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선행연구(Lee, 2007)와는 다른 결과로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에서 A형 예방접종 의도가 있는 경우가 더 많이 증가 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예방적 중재에 대한 연구인 것을 고려할 때, 여성청소년과 그 부모의 HPV 백신 접종의도에 관한 연구결과에서 촉진초점상황에서는 이득을 제시하는 긍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이, 예방 상황에서는 손실을 제시하는 부정적 메시지 프레이밍이 더 높은 백신 수용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던 결과와 맥락을 같이한다(Kim, 2013). 이 결과는 메시지 유형이 예방접종 의도에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볼 수 있다. A형 간염은 예방접종으로 100% 예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Chung, 2008). 영 ⋅ 유아에 대한 무료접종 지원 이외에도 경제적으로 취약한 여건에 있으면서도 실질적인 발병 가능한 연령을 고려하여 지원 규모 확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물론, 제도적 뒷받침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A형 간염의 심각성 및 예방접종의 중요성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대상자로 하여금 발병 우세 연령과 경제적 여건에 상관없이 예방접종에 참여할 의도를 가지도록 동기부여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학계 및 의료계에서 예방행위 중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예방 백신 접종에 대한 의도를 변화시키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의도는 실제 행동을 관찰하지 않으면서 예측하기 위한 가장 좋은 지표(Ajzen, 1991)이므로 A형 간염 백신 예방접종 의도는 A형 간염 백신 접종 행위를 예측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A형 간염 예방접종 행위를 예측하는 백신 접종의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부정적 메시지에 집중적으로 노출이 필요함을 시사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유방암 캠페인 효과에 대한 연구(Lee, 2007)에서 의도는 복잡하고 인지적 개념인 건강신념을 거치지 않고 행위 변화를 유도 할 개연성이 있다고 언급했듯이, 의도 변화만으로도 충분히 행동수정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세 번째,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의 A형 간염 예방행위 정도의 변화에 차이가 더 클 것이다.’에 대한 가설 검증 결과 긍정적 메시지군 보다 부정적 메시지군에서 약간 더 증가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 시행 후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 간 예방행위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프로그램 후 긍정적 메시지군과 부정적 메시지군 모두에서 예방행위 정도가 증가하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과 같은 만성질환은 질병이 발병하게 되면 규칙적으로 의료진을 방문해야 하고 꾸준히 약을 복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해결을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반면, A형 간염은 일시적인 질환으로 가볍게 여기는 경향으로 인하여 A형 간염에 대한 태도와 백신 예방접종에 대한 의도는 있으나, 행위와 일치하지는 않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A형 간염에 대한 관심제고 및 인식 향상을 위해서 대학이나 정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수준에서의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겠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간은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백신 접종의도에는 효과적이었으나 예방행위 이행으로 연결되지는 않았으므로 행위로 나타나는 시점을 확인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질병과 관련된 지식이 있으면 행위 이행이 향상되므로 건강에 유해한 행위에 노출되기 쉬운 대학생들(Jeoun, Cho, & Yoo, 2009)에게 질병에 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이며 올바른 지식을 가지도록 외적 동기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이행정도를 높이면서도 A형 간염은 예방이 중요하다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먼저 대상자 선정에 있어 특정 지역의 일부 대학생을 임의 표출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A형 간염에 노출된 적이 없으면서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하지 않았던 대상자를 포함시켰으나, 추후 실제 혈액검사를 통하여 A형 간염 항체 보유 유무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는 과정이 필요하리라 본다.


결론

본 연구는 A형 간염 예방 교육에서 효과적인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메시지의 유형을 파악하고, 긍정적 또는 부정적 메시지가 대학생의 A형 간염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 예방접종 의도 및 예방행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A형 간염 예방 캠페인의 전략 수립 및 메시지를 개발하는데 방향을 수립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11년 8월 29일부터 9월 30일까지 D시 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결론적으로 A형 간염의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A형 간염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A형 간염의 태도, 예방접종 의도를 증가시키므로 보다 확대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예방적 상황에서 부정적 메시지 형식으로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A형 간염 예방접종 의도를 유지하면서 실제 A형 간염 예방접종을 포함한 예방행위를 이행하는 시점까지 변화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지역사회와 소통을 담당하는 대학 차원에서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대학생의 주요 건강문제를 파악하여 문화와 경제 이외에도 건강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건강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겠다.

References

  • Abhyankar, P., O'connor, D. B., & Lawton, R., (2008), The role of message framing in promoting MMR vaccination: Evidence of a loss-frame advantage,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13(1), p1-16. [https://doi.org/10.1080/13548500701235732]
  •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50, p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 An, G. J., Choe, M. A., & Kim, B. H., (2005), persuasive effects according to types of exercise promotion advertisements for obesity preven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5), p817-828.
  • Chung, M. H., (2008), Hepatitis A immun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75(2), p661-667.
  • Faul, F., Erdfelder, E., Lang, A.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p175-1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 Gerend, M. A., Shepherd, J. E., & Monday, K. A., (2008), Behavioral frequency moderates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HPV vaccine acceptability,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35(2), p221-229. [https://doi.org/10.1007/s12160-008-9024-0]
  • Jeoun, H. S., Cho, O. H., & Yoo, Y. S., (2009), High blood pressure- related knowledge and health behavior among firstyea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2), p285-295.
  • Kahneman, D., & Tversky, A., (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a, 47(2), p263-392. [https://doi.org/10.2307/1914185]
  • Kim, E., (2013),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and individual's future orientation on health message persuasion: Applying prospect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 Kim, G., (2013), Acceptability for HPV vaccination in parent-child dyads in terms of regulatory focus, message framing and appe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 Kim, H. S., Oh, E. G., Hyong, H. K., & Cho, E. S., (2008),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p506-520.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October), Hepatitis A., Retrieved April 10, 2013,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View.jsp?menuIds=HOME001-MNU0001-MNU0746-MNU0750&cid=18008.
  • Lee, B. J., & Gu, M. O., (2009), Comparison of the effects between positive message and negative message in diabetes mellitus education, Korean Diabetes Journal, 33(4), p344-352. [https://doi.org/10.4093/kdj.2009.33.4.344]
  • Lee, H. K., (2011), Message framing effects on stomach cancer screening attitude: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health belief,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 Lee, J. H., (2007), The breast cancer campaign effect of the message appeal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 Lee, K. H., (2011), Changes in vaccination status and user satisfaction for the full coverage project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 Nan, X., Xie, B., & Madden, K., (2011), Acceptability of the H1N1 vaccine among older adults: the interplay of message framing and perceived vaccine safety and efficacy, Communication, 27(6), p559-568. [https://doi.org/10.1080/10410236.2011.617243]
  • Oh, H. Y., & Park, J. Y., (2011), Immunization, knowledg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to hepatitis A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5), p83-95.
  • Park, J. Y., (2011), Preventive behavior and health belief about hepatitis A of adults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4), p403-411.
  • Yoon, S. W., Lee, W. K., Cho, S. Y., Moon, S. H., Shin, H. D., Yun, S. Y., et al. , (2011), The seroprevalence rate, vaccination rate and seroconversion rate of Hepatitis A in central reg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57(3), p166-172. [https://doi.org/10.4166/kjg.2011.57.3.166]

Table 1.

Homogeneity Test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between Groups (N=88)

Variables Categories PMG (n=44) NMG (n=44) x2 or t p
n (%) or M±SD n (%) or M±SD
Gender Male 14 (31.8) 7 (15.9) 3.06 .132
Female 30 (68.2) 37 (84.1)
Perceived health status Good 24 (54.5) 26 (59.1) 0.50 .777
Moderate 17 (38.6) 13 (29.5)
Bad 3 (6.8) 5 (11.4)
Preferred raw food Yes 12 (27.3) 12 (27.3) 0.00 .594
No 32 (72.7) 32 (72.7)
Presence of members of nursery Yes 6 (13.6) 8 (18.2) 0.34 .772
No 38 (86.4) 36 (81.8)
Hear of hepatitis A Yes 26 (59.1) 26 (59.1) 0.00 .586
No 18 (40.9) 18 (40.9)
Attitude 3.27±0.35 3.27±0.32 0.97 .975
Preventive behavior 2.85±0.29 2.76±0.29 0.59 .120
Hepatitis A vaccination intention Yes 9 (20.5) 10 (22.7) 1.80 .314
No 35 (79.5) 34 (77.3)

Table 2.

Group Comparisons of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n Pretest and Posttest (N=88)

Variables Groups Pretest Posttest Difference t p
M±SD M±SD M±SD
Attitude PMG 3.27±0.36 3.39±0.37 0.11±0.36 0.92 .049
NMG 3.27±0.33 3.49±0.37 0.22±0.31
Preventive behavior PMG 2.85±0.26 2.95±0.36 0.09±0.24 1.10 .499
NMG 2.76±0.29 2.90±0.30 0.13±0.28

Table 3.

Group Comparisons of Hepatitis A Vaccination Intention on Pretest and Posttest (N=88)

Variables Groups Pretest Posttest t p
n (%) n (%)
Hepatitis A vaccination intention PMG (Yes) 9 (20.5) 33 (75.0) 5.43 .039
NMG (Yes) 10 (22.7) 41 (93.2)